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etc

배치(batch) 파일 만들기 (bat file) - 심코딩

by 심코딩 2023. 1. 5.

오늘은 윈도우의 명령프롬포트 (cmd) 에서 내가 원하는대로 실행을 할 수 있게 끔 해주는 윈도우 배치 (batch) 파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보통 작업 명령어들을 클릭 한번에 처리를 할 목적으로 자주 사용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파일경로를 미리 지정한 곳으로 옮길 때 해당 배치 파일을 만들어 둔 후 사용을 합니다.

배치파일 확장자는 .bat 이다. 파일을 생성을 하면 아래와 같이 생성이 되며, 더블클릭을 할 시 입력을 해둔 명령어가 실행이 됩니다.

 

 

 

배치 (batch) 파일 만들기

 

그럼 내가 원하는 배치 (batch) 파일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배치 파일은 따로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필요한 것은 메모장과 명령프롬포트 (cmd) 이다. 메모장에 원하는 명령어를 입력 후, bat 파일로 저장을 하면 끝이 납니다.

 

1. 먼저 메모장 (Notepad) 를 실행한다.

 

 

2. 원하는 코드를 입력해 준다

 

 

일반적으로 배치 파일의 가장 처음은 @echo off로 시작을 합니다.

@echo off를 하게 되면, 해당 배치파일을 실행하였을 때 cmd 내에서 내가 입력한 명령어는 보이지 않고, 결과값만 보이게 됩니다. 반대로 @echo on을 하게 되면, 배치파일을 실행하였을 때 내가 배치파일에 적어둔 명령어와 그에 응하는 결과값이 모두 보이게 됩니다.

 

위 이미지 하단에 적힌 cmd /k "cd/d D:\Solo Coding\Projects\social_book" 명령어는 내가 원하는 D드라이브 안의 폴더 경로로 이동시켜주는 명령어 입니다.

 

3. 저장하기 (.bat)

 

잘 입력을 해주었다면 위와 같이 다른이름으로 저장으로 "파일명.bat " 으로 저장을 합니다.

 

 

4. 실행 및 수정하기

 

 

해당 배치파일을 실행하면 위와같이 나올 것입니다. 기본 경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해당 파일로 실행을 하면 이렇게 내가 지정해둔 폴더로 바로 명령프롬포트(cmd)가 실행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만약 수정을 원한다면 해당파일 > 마우스 오른쪽 > 편집(edit) 을 누르면 다시 해당 메모장이 나오니 오류가 있을 경우 코드를 알맞게 수정해주면 됩니다.

 


오늘은 윈도우 배치 (batch) 파일이 어떤것인지, 어떻게 만드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혼자서 여러가지 만지다 보면 배치파일이 있을 경우 굉장히 편한 경우가 많은데요, 특히 파이썬으로 코드를 작성해두고 exe파일로 두지 않고 배치 파일로 해당 파이썬 파일을 실행하게 두면 일반 프로그램과 똑같이 실행하기도 편해집니다. 다음에는 배치파일에서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몇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