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rketing

구글 스니펫 (Snippet) 이란 무엇인가? 선정은 어떻게? - 심코딩

by 심코딩 2022. 8. 28.

오늘은 구글 스니펫 (Google Snippet) 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며, 어떻게 선정이 되는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스니펫이라는 말은 생소하실 수 도 있는데요, 사전적 의미로는 "작은 정보 소식", "한 토막" 이라고 나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스니펫 (Snippet) 이란 무엇인가? 

 

그렇다면, 이 디지털마케팅에서의 스니펫을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사실 마케팅에서 스니펫이라고 말한다면 보통 구글 스니펫을 말하곤 합니다. 이 구글에서의 스니펫의 의미는 "특정 키워드의 검색 아웃풋의 요약본" 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바로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정확히 이해가 될 것입니다.

 

검색을 하시다보면 많이들 보셨을거라 생각 합니다. 위 스니펫은 스니펫의 종류에서도 "추천 스니펫"에 해당 됩니다. 보통 위키백과, 나무위키 등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나오곤 합니다. 하지만 일반 개인 블로그들도 올라갈 수 있습니다. 당연히 해당 키워드에 대해 추천 스니펫에 선정이 된다면 해당 글의 조회수는 굉장히 많이 올라가겠죠?

 

 

 

추천 스니펫에 선정 되는 방법?

 

추천 스니펫에 선정 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1. 양질의 포스팅

 

일단 모든 포스팅에 항상 말씀드리지만 높은 검색 조회수를 기록하기 위해서, 혹은 모든 디지털마케팅에 있어서 기본이자 필수는 양질의 컨텐츠 혹은 포스팅 입니다. 당연한 거지만 퀄리티가 낮은 포스팅은 구글 상단 노출, 특히 추천 스니펫에 선정되기는 굉장히 힘듭니다.

 

2. 적절한 글자수 사용

 

추천 스니펫에 되기 위해서는 한 단락의 글자 내용또한 조절을 해야 합니다. 한 단락이 너무 길 경우 추천 스니펫에 채택되기는 굉장히 힘듭니다. 보통 한글 기준 150자 내외라고 생각해주시면 되십니다.

 

3. 숫자 및 목록 사용

 

글을 작성하면서 숫자로 순서를 배열하거나, 리스트를 이용하여 목록화 시키는 것 또한 도움이 됩니다. 간단하고 명료하게 어떠한 정보의 해답을 얻을 수 있어야 되기 때문에 시각화가 잘되어 있는 컨텐츠일수록 채택될 확률이 올라 갑니다. 또한 헤딩태그를 이용하느 것도 좋습니다. 헤딩태그란 html의 기초 문법중 하나인데, 쉽게 말해 폰트의 크기를 뜻합니다. H1 이 가장 큰 폰트며, H6 이 가장 작은 폰트입니다. 이를 통해 문단을 구분 할 수 있습니다.

 

4. 높은 퀄리티의 이미지 삽입

 

간단합니다, 저작권 문제가 없는 이미지 혹은 사진을 넣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 이미지 중 대부분의 이미지는 freepik이라고 하는 웹사이트에서 다운을 합니다. 이러한 경우 저작권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또한 썸네일과 필요한 부분들은 자체 제작을 하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Freepik | Graphic Resources for everyone

Discover millions of copyright-free vectors, photos and PSD

www.freepik.com


오늘은 스니펫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 또한 사실 아직 제 글에 구글추천 스니펫에 채택된 글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있다면 정말 자랑스러울거 같네요 :) 이 글을 보신 분들은 꼭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