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Python

JSON (제이슨) 이란 무엇인가? 파이썬 기본 문법

by 심코딩 2022. 4. 27.

오늘은 바로 JSON (제이슨) 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설명 해보려 합니다!

 

예전에 한번 업무를 하는 도중에 어떤 분께서 파일리스트를 JSON 파일로 줄 수 있냐고 물어봐서 굉장히 당황을 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것도 전 그땐 JSON의 존재도 모를 때 였어서 계속 통화로 그게 무슨말이냐고 영어로 한참 물어봤던 기억이 있네요. 결국은 그분이 그냥 엑셀로 주면 된다고 해서 줬었습니다 ㅋㅋㅋㅋ..

 

JSON은 위 저의 사연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데이터를 저장방식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되십니다. 보통 프로그래머분들이 많이들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고 하더라구요.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줄임말 입니다. 자료를 주고 받을 때 자료를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보통 컴퓨터 프로그램의 변수값을 표현하는데에 굉장히 좋다고 합니다. 또한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구애 받지 않고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용이 가능 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어 사람이 읽기도 굉장히 쉽다는 장점이 있네요!

 

표현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VARIABLE = { "KEY" : "VALUE" }

변수 = { "키" : "값" }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제가 지금 저의 블로그 이름과 주소를 제이슨을 통해서 저장하고 싶다고 한다고 칩시다.

저의 블로그 이름은 심코딩, 블로그 주소는 s1mcoding.tistroy.com 입니다. 이는 아래와 같이 제이슨을 통해 구현할 수 있습니다.

 

BLOG = { " Name " : " s1mcoding " , " Address " : " s1mcoding.tistroy.com " }

 

이렇게 해두고 나중에 제가 키인 Name과 Address를 불러온다면 그에 맞는 값을 자동으로 가져오게 됩니다.

 

값을 여러개 넣는 것도 가능합니다. 바로 대괄호 [ ]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 " Name " : [ "s1mcoding" , "심코딩"] }

 

이렇게 사용 가능합니다. 숫자 같은 경우는 따옴표 없이 그냥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제 다들 회사 돌아가셔서 자료 요청 할 때 한번 거들먹 거려볼까요?

 

" 혹시 파일 엑셀말고 제이슨으로 주실 수 있으세요? "

댓글